I want to help you something to happy :)

조운(趙雲)은 자()가 자룡(子龍)이고 기주 상산(常山) 진정()사람이다. 본래 공손찬(公孫瓚)에 속했는데 공손찬이 선주(先主-유비)를 보내 전해(田楷)를 도와 원소(袁紹)를 막게 하니 조운이 이에 선주(先主)에게 수행하며 기병을 지휘했다.

선주가 당양(當陽) 장판(長阪)에서 조공(曹公-조조)에게 추격당해 처자를 버리고 남쪽으로 달아나자, 조운이 몸소 어린 아이를 품에 안았으니 즉 후주(後主-유선劉禪)이고 감부인(甘夫人)을 보호했으니 즉 후주의 모친이었으며 이들이 모두 위난을 면할 수 있었다. 아문장군(牙門將軍 - 사령관 직할의 부대의 장)으로 올랐다. 선주가 촉()으로 들어갈 때 조운은 형주(荊州)에 남았다

선주(先主)가 가맹(葭萌)에서 환군해 유장(劉璋)을 공격하고 제갈량을 불렀다. 제갈량이 조운과 장비등을 이끌고 강을 거슬러 서쪽으로 올라가며 군현들을 평정했다. 강주(江州)에 도착하자 조운을 나누어 보내 외수(外水)를 따라 강양(江陽)으로 올라가게(서진하게) 하니 성도(成都)에서 제갈량과 합류했다. 성도가 평정된 뒤 조운을 익군장군(翊軍將軍-모르겠음 잡호장군같음)으로 삼았다.

건흥 원년(223), 중호군(中護軍 중호군은 호군의 일종으로 고급 군대 요직이다. 중령군, 중도호 등과 함께 금군을 지휘하고, 무관을 선발하며, 무장들을 감독하는 역할을 했다 ), 정남장군(征南將軍 잡호장군)으로 임명하고 영창정후(永昌亭侯)에 봉했다가 진동장군(東將軍 잡호장군)으로 올렸다. 

건흥 5(227), 제갈량을 수행해 한중에 주둔했다.

그 이듬해(228), 제갈량이 출군하여 야곡도(斜谷道)를 거친다고 양성(揚聲-널리 소문냄)하자 조진()이 대군을 보내 이를 당적했다. 제갈량은 조운과 등지(鄧芝)로 하여금 가서 막게 하고 자신은 기산(祁山)을 공격했다. 조운, 등지의 군사들은 약하고 적은 강하여 기곡(箕谷)에서 실리(失利-불리함,싸움에 짐)했으나 군사들을 거두어 굳게 지켰으므로 대패에 이르지는 않았다. 군이 퇴각한 뒤 진군장군(軍將軍 잡호장군)으로 강등되었다.

건흥 7(229)에 죽었다. 시호를 추증해 순평후(順平侯)라 했다.

 당초 선주(先主) 때에는 오직 법정(法正)만이 시호(공덕을 기리는 이름)를 받았다. 후주(後主) 때에는 제갈량은 공덕이 세상을 덮고 장완(蔣琬), 비의()는국가의 중임을 떠맡았으니 또한 시호를 받았다. 진지(陳祗)는 총애를 받아 특별히 특별한 포장이 더해졌고 하후패(夏侯霸)는 멀리 와서 국가에 귀부했으므로 또한 시호를 받았다. 그러다 관우, 장비, 마초, 방통, 황충과 조운이 시호를 추증받았으니 그 무렵 논의하는 사람들에서는 이를 영예로운 일로 여겼다.

조운의 아들 조통(趙統)이 후사를 이었고 관직이 호분중랑(虎賁中郎-황제호위),독행령군(督行領軍)에 이르렀다.차자(次子-차남) 조광(趙廣)은 아문장(牙門將)으로 강유(姜維)를 수행해 답중(沓中)에서 싸움에 임하다 전사했다.

평한다. 관우, 장비는 모두 만인지적(萬人之敵)이라 칭해진 당세의 호신(虎臣-범 같은 신하)이었다. 관우는 조공(曹公)에게 힘써 보답하고 장비는 의(義)로써 엄안(嚴顔)을놓아주었으니 아울러 국사(國 士)의 풍모가 있었다. 그러나 관우는 강이 굳세고 자부심이 강하고 장비는 난폭하고 은혜롭지 안하여 자신의 단점으로써 패망하게 되었으니 이치의 상례로다. 마초는 융족과 용력에 의지해 자신의 일족을 망쳤으니 애석하구나! 곤궁함에 처하여 이로 인해 태평함으로 나아갔다면 더 낫지 않았겠는가! 황충, 조운은 굳세고 사납고 씩씩하고 용맹하여 아울러 조아(爪牙-발톱과 어금니. 용맹한 무장을 비유)가 되었으니 관(灌-관영灌嬰), 등(滕-등공 하후영夏侯嬰)의 무리로다.

 

'잡지식 > 삼국지 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우  (0) 2023.02.26
제갈량 -2  (1) 2023.02.22
제갈량 -1  (2) 2023.02.20
유비 (선주) -3  (2) 2023.02.19
유비 (선주) -2  (1) 2023.02.19